|
과정소개 |

 |
연수목표 |

1. 교사로서 필수적으로 보유하고 있어야할 인문학적 지식을 단기간에 습득할 수 있다.
2. 이미 알고 있었던 여러 역사적 이벤트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.
3. 불경, 성경 그리고 4대 성인의 이야기를 통해 여러 현실적인 문제를 바라보는 전혀 다른 시야를 보유할 수 있다.
 |
연수개요 |

본 연수는 교사들로 하여금 필수적인 인문학적 배경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물론 바쁜 일상에 지치고 힘든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합니다. 자칫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고전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풀어냄으로써 단기간에 폭 넓은 인문학적 지식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
주제의 구성은 불경, 성경, 그리스 철학, 북유럽 신화 등 동서양과 여러 시대를 넘나드는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통해 과거 현인들의 조언이 현대에도 여전히 적용이 됨을 느끼고, 경문왕과 마이다스 그리고 진섭세가와 체게바라 등 얼핏 서로 연관이 없을 것 같은 인물들 간에 소설적인 연결 다리를 놓음으로써 인류의 역사는 서로 독립된 단편적인 기록이 아닌 상호 영향을 주는 거대한 흐름의 결과물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줄 것입니다.
■ 구체적인 주제 목차 구성
□ 1강~4강 ‘경전’이라 불린 불교의 『금강경』, 기독교 경전 성서의 「마태복음」 편, 홍수 신화의 원조 격인 『갈가메시 서사시』,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 『서경』으로 구성하였습니다.
□ 5강~8강 유럽의 현실과 꿈을 다룬 플라톤이 쓴 대화편 『크리톤』, 100명 이상의 초기 그리스 사상가의 단편을 망라한 『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』, 로마 제일의 정치가이자 전쟁 영웅 카이사르가 남긴 난중일기 『갈리아 전쟁기』,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토르 이야기로 구성하였습니다.
□ 9강~12강 사랑의 마음을 담은 시와 소설, 역사서 및 철학서로, 유명한 황진이의 시부터, 유럽 전역을 덮친 흑사병에 맞서 욕망과 쾌락으로 삶을 긍정하려 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긴 단편집 『데카메론』, 중국 최초의 혁명 기록인 『진섭세가』, 사랑과 겸애를 진보적 사상으로 성찰한 『묵자』로 구성하였습니다.
□ 13강~15강 춘추천국시대의 각종 인간 군상들이 등장하는 『동주열국지』, 도가 사상이 담긴 『열자』와 『장자』 등으로 구성하였습니다.
이 모든 과정을 거치는 동안 우리의 일상을 가득 채우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야를 얻게 될 것이며,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‘힐링’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.
모든 신화는 사실 그 신화를 만들어낸 ‘인간’의 이야기입니다. 수천 년간 이어져 내려온 인간의 이야기가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쳐줄 수 있을지, 명로진 교수와 함께 유쾌한 인문학의 세상에 흠뻑 빠지기 가장 좋은 시간은 바로 ‘지금’입니다.
 |
강사진 안내 |

■ 명로진 선생님
· [논어는 처음이지?], [짧고 굵은 고전 읽기], [동백어 필 무렵] 등 고전과 글쓰기에 대한 50여 권의 책 출간
· 2013 팟캐스트 명로진 권진영의 고전 읽기 진행
· 2012 명로진의 EBS 북카페 (7년 이상)
· 2011 생방송 FM 스토리 스페셜 (1년 6개월)
· 2008 교보문고 북멘토
· 2008 제1회 인디라이터 북페어 초청강사, 심사위원
· 2008 서울국제도서전 초청작가
· 2005 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콘텐츠 앰버서더로 임명
· 1991 스포츠조선 기자
 |
|
|
차시 |
목차 |
강사 |
1 |
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부: 불교의 정수, 「금강경」 |
명로진 |
2 |
황홀한 만남의 순간: 신약 성서의 요체, 「마태복음」 |
명로진 |
3 |
홍수 신화의 원조?: 수메르 신화, 「길가메시 서사시」 |
명로진 |
4 |
귀를 종긋 세우는 리더: 동양 역사의 바이블, 「서경」 |
명로진 |
5 |
소크라테스의 최후: 친구와 보낸 마지막, 「크리톤」 |
명로진 |
6 |
고대 철학자들이 주는 삶의 처방전: 「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」 |
명로진 |
7 |
카이사르와 게르만 민족의 대결: 「갈리아 전쟁기」 |
명로진 |
8 |
토르가 여장을 한 이유: 마블 영화만큼 재미있는 북유럽 신화 |
명로진 |
9 |
우리에게 시조가 있었네: 사랑과 이별을 노래한 시조 |
명로진 |
10 |
아내를 믿지 못한 남자: 죽음의 끝에서 노래한 생명, 「데카메론」 |
명로진 |
11 |
딸에게 주는 편지: 중국 최초의 혁명 기록, 「진섭세가」 |
명로진 |
12 |
맹승 복음, 겸애로 살라: 사랑의 철학자, 「묵자」 |
명로진 |
13 |
하백의 신부: 미신을 몰아낸 서문표, 「동주열국지」 |
명로진 |
14 |
미다스가 경문왕이 되기까지: 「삼국유사」 & 「변신 이야기」 |
명로진 |
15 |
열어구가 장주를 만났을 때: 장르의 원천, 「열자」 & 「장자」 |
명로진 |
|
|
|